공부하는 직장인

[직장인 공부] 2025 법학전문대학원 준비 기록_배경지식편

운은 2024. 12. 22. 18:40
반응형

1. 주요 정량 및 정성

- 서성한 / 비법학사 문과 / 학점 93 / 리트 124 / 토익 880 / 직장3년
- 리트 점수 변화: 98 -> 110 -> 124


2. 입시 결과

- 초시(2023): 지사립 가, 나군 서류 탈락
- 재수(2024): 지사립1, 지거국1 가, 나군 서류 탈락
- 삼수(2025): 지사립1, 지거국1 가, 나군 최초합


3. 기존의 배경지식

- 책을 좋아하는 편이긴 했지만 스스로 리트 응시생들의 평균에는 못미치는 수준이라고 생각합니다.
- 학부 시절 철학에 대한 기본적인 수업을 들어서 철학자들의 이름은 익숙하지만 철학자와 그들의 중심 사상을 능숙하게 연결하지 못합니다.


4. 배경지식을 쌓기 위해 활용한 방법


1) 유튜브
- 5분뚝딱 철학, 안될과학, 지식보관소, 김지윤의 지식play, 브르드삼디 채널을 시간 날 때마다 봣습니다. 공부는 도저히 못하겠는데 공부해야 하는 날이라거나 밥 먹을 때 자주 봤어요

- 5분 뚝딱 철학 : 이해황 선생님의 논리개념매뉴얼이나 강화약화매뉴얼에도 추천으로 종종 등장하는 채널입니다. 5분이 아닌 영상들도 많지만 기본적인 배경지식을 심을 때 도움을 많이 받았습니다.  
https://youtube.com/@5philosophy?si=8PKdvnzVozweygfl

5분 뚝딱 철학

안녕하세요. 김필영입니다. 5분뚝딱철학은 철학과 심리학에 대한 영상과 철학적 에세이 영상을 올리고 있습니다. 협업 및 강연 문의는 필로에듀로 부탁합니다. cosmoscan@naver.com 채널 후원은 콘텐

www.youtube.com


- 안될과학 : 재생목록 중에서 긴급과학 많이 봤습니다. 약간 숨가쁜 느낌의 영상이라서 그냥 보면 시간이 그냥 흘러가고.. 모의고사나 기출 지문에서 어떤 내용을 봤는데 그걸 잘 모르겠다! 할 때 보충적으로 보고 공부하기 좋았습니다.
https://youtube.com/@unrealscience?si=INdeEk1ab8vR6eHX

안될과학 Unrealscience

과학의 대중화를 위해 박사급 아재들이 직접 만든, 될 과학 “안될 과학” 다 만드는 본격 과학 채널 안될과학과 함께 세상을 바꿀 과학자 및 과학기술 분야 전문가+덕후분들을 항상 기다립니다

www.youtube.com


- 지식보관소 : 과학 위주의 영상입니다. 안될과학보다 조금 더 차분해서 그날의 기분에 맞게 마음에 드는 채널에서 영상을 봤습니다. 이 채널도 과학 지문으로 나온 주제를 좀 더 이해하는 데에 도움을 많이 주었습니다.
https://youtube.com/@20000s?si=zKtento03orLbRMy

지식보관소

어려운 용어들이나 개념을 최대한 쉽고 재미있게 영상매체로 설명함으로써 학생들에게는 창의력을 길러주고 성인 시청자분들은 과학에 흥미를 느끼도록 도움을 주는 채널이 되었으면 좋겠습

www.youtube.com



- 김지윤의 지식play : 정치와 경제 면에서 배경 지식 쌓는 데에 도움받은 채널입니다. 과학은 영상을 반드시 봐야 했지만 정치나 경제 부분은 굳이 영상이 없어도 괜찮은 경우가 있었습니다. 그래서 자기 전에 라디오처럼 많이 들었어요.
https://youtube.com/@kjy_play?si=yNTaPbxuEW4DsWBJ

김지윤의 지식Play

#국제정치 #미국문화 #역사 MLB 광팬, Jazz 매니아 김지윤 박사가 역사, 인문, 영화, 음악, 미국 정치까지 깨알같이 풀어드립니다.

www.youtube.com


- 브르드삼디 : 기술 원리를 영상으로 이해하고 싶다면 가장 최적인 영상이라고 생각합니다. 원자력 발전소 원리와 작동방식, cpu작동방식 모두 이 채널을 통해 이해했어요. 그저 감사한 채널입니다…
https://youtube.com/@brd3d?si=fcDhnbjeD9iq7_-g

bRd 3D

콘텐츠 협업 & 비즈니스 문의 hello@ipbuilders.co.kr 모든 창작 콘텐츠의 저작권은 bRd3D에 있으며 무단 이용할 수 없습니다.

www.youtube.com




2) 독서
- 첫 해에는 거의 책을 안 읽었고 모의고사를 워낙 많이 봐서 언어이해 지문으로도 충분할 거라고 생각했습니다.. 충분하지 않았던 것 같지만요!
- 두 번째 해에는 책보다는 유튜브 중심으로 배경을 쌓았습니다. 추리논증 지문으로 많이 나온다는 실험철학, 인공지능의 인간학(시리즈) 정도만 읽었어요
- 세 번째 해에는 거의 책만 읽었습니다. national geogrphy 백과사전 시리즈를 읽었고, 숼 때도 에세이를 많이 읽었습니다. 글 자체에 노출이 많이 되어야 한다고 생각했고, 어떤 책을 읽든 문단별로 중심 문장을 표시하면서 넘어갔습니다. 여백에 요약까지 했으면 좋았겠지만 시간이 너무 많이 걸려서 표시만 했습니다.

세계의 역사를 뒤바꾼 1000가지 사건

내셔널 지오그래픽 시리즈 6권을 읽었습니다. 짧은 주제가 총망라되어있는, 이 책을 읽고 나면 정말 모르는 소재는 없어지겠다는 확신이 들었어요.

실험철학

이 책은 이해황 선생님의 추천목록에 들어가 있어서 읽었습니다. 어려운 책입니다… 통독하려고 노력했지만 시간관계상 예시가 많이 나오는 단원만 발췌하여 읽었습니다.

인공지능의 존재론

이 책은 시리즈입니다. 존재론, 인간학, 윤리학 세 권이 있습니다. 재수 때는 한 권만 읽었지만 삼수 때는 세 권을 전부 읽고 시험장에 갔습니다. 내용이 직접적으로 리트에 도움이되었다는 생각은 별로 안들지만, ‘할 수 있는 것을 다 했다’는 뿌듯함은 있었습니다.



3) 팟캐스트
- 알릴레오 북스, 과장창 시즌 1,2,3,4 들었습니다.
과장창은 회차 가리지 않고 순서대로 들었고, 알릴레오 북스는 고전을 다룬 회차 위주로 들었어요(소크라테스의 변명 등).
- 듣다가 취향이 아니거나 재미가 없으면 편하게 종료했습닌다. 유튜브나 책과는 다르게 자기 전에 들었고, 좀 더 광범위한 교양을 위해서 들은 것이라서 ‘어떤 주제를 오늘 반듯 이해해야겠다!’ 라는 부담감을 줄였어요.  

알릴레오 북‘s

알릴레오 북's

도서 팟캐스트 · 251개의 에피소드 · 격월 업데이트

podcasts.apple.com



과장창(과학으로 장난치는 게 창피해?)

과장창 : 모두에게 과학이 필요한 시간

자연 과학 팟캐스트 · 404개의 에피소드 · 매주 업데이트

podcasts.apple.com



5. 정리

- 리트 시험에 배경지식은 과학과 경제 분야에 한정해서만 도움이 된다는 의견이 있고 대체로 공감합니다. 조금 더 엄격하게 이야기하자면 리트 ‘점수’를 올리기위해 도움이 되는 배경지식은 ‘글로 된’지식이어야 한다는 의견도 추가하고 싶습니다. 영상은 보조수단이고, 결국에는 글을 읽고 문제를 풀어야 하기 때문에 책이 가장 직접적으로 도움이 되었습니다.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