공부하는 직장인

[직장인 공부] 2025 법학전문대학원 준비 기록_추리논증 편

운은 2025. 1. 19. 22:09
반응형

1. 주요 정량 및 정성

- 서성한 / 비법학사 문과 / 학점 93 / 리트 124 / 토익 880 / 직장3년
- 리트 점수 변화: 98 -> 110 -> 124




2. 입시 결과

- 초시(2023): 지사립 가, 나군 서류 탈락
- 재수(2024): 지사립1, 지거국1 가, 나군 서류 탈락
- 삼수(2025): 지사립1, 지거국1 가, 나군 최초합




3. 기존의 추리논증 능력

원래 논리퀴즈, 스도쿠, 네모로직같은 퀴즈형 게임을 좋아하는 편은 아니었습니다. 취미로 하는 사람들도 많았지만 여튼 제 스타일은 아니었고… 기호논리학은 학창시절 수학시간에, 학부 수업으로 들었던 것이 전부였습니다. 기호논리학 학부 수업 성적은 B+ 정도로, 그렇게 잘했던 과목은 아니었고 겨우겨우 따라가는 수준이었어요.



4. 추리논증 공부 방법


1) 초시 :: 모의고사 문제 양치기
- 저의 초시 공부방법은 대부분 양치기였습니다. 일주일에 모의고사 한 세트씩 풀었는데 전부 처음 보는 문제였고 원점수도 거의 반타작 정도 했어요.
- 일주일에 5~6문제 정도 오답노트를 했습니다. 이때는 문제를 유형별로 어떻게 나눠야 하는지도 몰랐고, 오답노트를 할 문제를 고르는 기준도 없었어요.
- 초시 원점수는 21 / 40 이었던 것으로 기억합니다.

2) 재수 :: 기출문제 유형별 분류 및 분석
- 기출문제를 4~5회독 정도 했습니다. 시간 맞춰서 풀기 -> 시간 맞춰서 푸는데 주관식으로 풀기(ㄱ,ㄴ,ㄷ 적기) -> 유형별로 풀기 순서로 3회독 했습니다.
- 마지막 2개월 정도는 5개년치 추리논증 문제를 유형별로 분류하고 모든 사고과정을 적어서 접근 방법을 유형화시켰습니다. 유형 판단 -> 선지에서 핵심어 찾가 -> 본문에서 논리구조 찾기 -> 함정 피하기 라는 순서를 정해두고 모든 문제를 저 순서대로 접근했어요. 논리퀴즈는 버렸습니다.
- 이해황 선생님의 논리개념 매뉴얼, 강화약화매뉴얼을 각각 2회독씩 했습니다. 이 책에도 기출문제가 많으니 합치면 5회독 정도 했을 것 같아요.
- 재수 원점수는 24 / 40 이었습니다.

3) 삼수 :: 기출문제 분석 방법과 해설지 비교
- 모의고사는 월1회 정도 응시했습니다. 그런데 삼수나 되어서 긴장이 빠져서 그런가.. 정말 문제 안풀리더라구요. 시험장에서 많이 잤습니다.
- 재수때 분석해 둔 내용이 법전협 해설지의 풀이 방법과 유사한지 비교해보았습니다. 법전협 해설지를 보고 일치하지 않거나 이해되지 않는 것은 메가스터디 답안지도 보았습니다. 사고 흐름이 옳바른지를 계속 점검했어요.
- 논리개념 매뉴얼, 강화약화매뉴얼 최신판으로 다시 2회독을 했습니다. 사실상의 3,4회독을 했는데, 3회독은 다시 처음부터 쭉 읽으면서 풀었고, 4회독 때는 틀린 문제나 어려웠던 부분만 재점검하면서 넘어갔습니다. 3회독쯤 되었을 때 ‘아 이런 말이었구나’ 하는 이해가 되었어요.
- 삼수 원점수는 34 / 40 이었습니다.



5. 후기
추리논증은 꾸준히 오르긴 했지만.. 사실 무엇 때문에 오른 것 같다! 하는 감도 없습니다… 1. 기출 분석 2. 양치기 3.기본 논리학 공부 외에는 별다른 방법이 없는 것도 같아요.

반응형